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북핵
- 유화정책
- 미국
- 정치학박사
- 2년의무귀국
- 핵무기
- 미국박사과정
- SOP
- nuclear politics
- credibility
- 전쟁
- 지원학교
- 풀브라이트
- 국제정치
- fulbright
- military threats
- 풀브라이트 지원서류
- gre
- 미국유학
- 북미정상회담
- 문재인정부
- 동맹
- 풀브라이트장학금
- 군사위협
- foreign affairs
- nuclear deterrence
- 미국유학준비
- 풀브라이트 장학금
- 핵억지
- 외부장학금
- Today
- Total
It ain't over till it is over.
이 포스팅은 작년 6월, SWAMOS 참석을 위한 리딩을 하던 도중 든 생각을 정리하게 위해 쓴 글이다. 그때는 재미있어 보였는데 역시 다른 일에 치이느라 손도 못대고 있다. 그래도 적어놨으니 다행. ___ SWAMOS 참석을 위한 리딩 중 Military Effectiveness에 대한 연구를 읽었다. 아주 저명한 사학자로 군사사, 전략연구에서 많은 업적을 남긴 Williamson Murray가 Allan Millett이라는 또 다른 사학자와 함께 집필한 편집본의 개론 챕터였다. Military Effectiveness라는 개념을 정의하면서 Political, Strategic, Operational, Tactical의 4가지 수준에서의 Military Effectiveness의 요소들을 상세하게 분석..
이 포스팅도 작년 5월에 올렸던 것. 정말로 유익했고 재미있었던 유투브 영상을 보고 난 후에 올렸던 글이다. ___ 오늘 우연히 트위터로 접하게 된 라이팅/연구 관련 영상. 최근에 본 영상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영상이었다. 놀라울 정도의 흡입력이었고 정신 놓고 두 시간 동안빠져들었다. Know your readers and think about how to create values to your readers through your writing. 가장 핵심적인 교훈.
이 포스팅은 21년 5월에 올렸던 것. 그 날 학과 세미나에 온 다른 학과 교수가 정말 최악이어서 화가 나서 썼던 글이다. ㅇ 1) I propose a very simple model of blah blah blah.. 당신 모델은 1) 99%의 사람들에게 절대 simple하게 보이지 않거나 2) 만약 그렇게 간단했다면 1%의 사람들에게는 가치 없는 모델로 취급될 것임. 2) I will keep my presentation very intuitive and will not deep dive into technical aspects of this project.. 이건 발표 시간 30분을 전부 다 자기 모델 설명하는데 쓰고 있는 오늘 발표자를 보면서 드는 생각. 아무도 그 디테일을 이해할 수 없는 청중..
이 포스팅은 다른 곳에 21년 4월에 올렸던 것이다. 코로나 때문에 계획하고 있었던 아카이브 연구 방문이 모두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디지털화 되어 있는 문서들을 찾기 시작했다. UCLA의 March Trachtenberg 교수의 개인 웹사이트에서 정말 많은 도움을 얻었다. http://www.sscnet.ucla.edu/polisci/faculty/trachtenberg/ Trachtenberg Website Marc Trachtenberg UCLA Political Science Department 4289 Bunche Hall Los Angeles, CA 90095-1472 This website was originally meant to serve as a kind of suppleme..
며칠 전 Fox News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미국의 NATO 공약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왜 미국이 몬테네그로 같이 조그맣고,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를 위해 러시아와 전쟁을 해야 하는가? 왜 소중한 미국의 젊은이들이 미국에게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몬테네그로 같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려야 하는가? 만약 몬테네그로가 동맹을 등에 업고 러시아를 도발해서 군사 충돌이 일어난다면, 집단방위공약 때문에 3차 대전이 일어날 것이다. 몬테네그로가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가 (NYT 기사 참조 https://www.nytimes.com/2018/07/18/world/europe/trump-nato-self-defense-montenegro.html)? 몬테네그로는 2017년 NATO에 가입했다. 그 직전 몬테..